꽃 한 송이 밥 한 그릇.    김홍식.

 

고대의 인류는 “모든 것은 신의 뜻이다”라는 생각을 삶의 모든 부분에 적용하였습니다.

농사도 비와 바람과 해의 일조량이 아닌 신의 뜻에 의해 결정 된다고 믿었습니다.

그로 인해 농사를 위해 사람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은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라고 생각 하였습니다.

 

그러한 시대에 최초로 농사는 하늘의 뜻이 아닌 자연 환경과 조건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생각한 사람이 생겨났습니다.

서양 철학사에서 가장 앞에 나오는 인물인 밀레투스의 탈레스입니다.

그는 세심한 관찰을 통해 농사는 하늘이 정하는 운명이 아니라 기후와 날씨, 물과 바람, 등 자연 조건에 의해 결정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가장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물이라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물의 중요성을 알게 된 후 탈레스는 물이 만물을 구성하는 기초적인 물질이라고 가르치며 하늘만 바라보던 사람들에게 자연과 환경의 중요성을 가르치기 시작 했습니다.

 

탈레스는 모든 사람이 농사의 수확을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시대에 가을의 추수는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환경에 의해 만들어 지는 것임을 최초로 역설하였기에 철학의 시초가 되었습니다.

탈레스 이전의 고대부터 현대까지 아주 많은 사람들이 부부는 저절로 좋은 사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아도 결혼한 남녀는 당연히 행복 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합니다.

아닙니다. 행복할 만한 일을 해야 행복할 수 있습니다.

남자는 여자가 행복할 만한 일을 하고, 여자는 남자가 행복할 만한 일을 해야 비로소 행복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여자는 꽃 한 송이로 행복하고 남자는 밥 한 그릇에 감동합니다.

같은 세상에 태어나서 같은 시대를 살아가지만 남자와 여자는 다른 정서로 살아갑니다.

남자는 단순하고 물리적이고 현실적인 반면 여자는 감성적이고 복잡하고 이상적인 것을 추구합니다.

남자는 배부르면 행복하지만 여자는 꽃이 있어야 행복합니다.

남자는 꽃을 이해하지 못하고 여자는 남자의 배부른 행복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갈등할 수밖에 없는 필연의 관계가 됩니다.

 

인생에는 밥도 필요하고 꽃도 필요합니다.

단순함도 있어야 하고 복잡함도 있어야 합니다.

현실적인 감각과 이상적인 추구도 있어야 합니다.

배만 부른 인생도 꽃만 있는 인생도 반쪽 인생입니다. 배도 부르고 꽃 도 있어야 합니다.

거칠고 힘 쎈 남자가 있어야 어려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고, 부드럽고 자상한 여자가 있어야 삶이 풍성해집니다.

 

남자들은 아주 싫어하지만 여자들은 가장 좋아 하는 밥이 세 가지 있습니다.

사또밥, 고래밥, 인디언밥. 남자들에게는 밥 같은 게 아니라 진짜 밥이 필요합니다.

어제 한 밥이라도 마르지는 않은 밥이어야 합니다.

아까워도 변두리에 말라붙은 것 정도는 떼어내고, 다른 그릇에 뒤집기라도 하면 새 밥인 줄 알고 먹을 수 있습니다.

 

세상은 남녀의 조화를 통해 완성 됩니다.

가정은 남편과 아내의 연합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남편은 아내의 필요를 채우기 위해 가끔 고기를 사 먹을 돈으로 꽃을 사야하고,

아내는 남편을 위해 꽃을 사러 나갔다가 고기를 사올 때도 있어야 합니다.

Posted by 김홍식